스웨디시
페이지 정보

본문
0. 범위와 전제
-
대상: 실무 테라피스트, 혹은 고급 사용자.
-
목표: “느낌 좋은 마사지”를 넘어 재현 가능하고 검증 가능한 세션 만들기.
-
원칙: 얕은 층에서 깊은 층으로, 큰 면에서 작은 면으로, 말단에서 심장 방향으로, 리듬은 일정하게.
1. 임상 의사결정 트리(3단 단계)
-
레드 플래그 배제
-
급성 감염·고열, 활동성 혈전 의심, 최근 대수술, 광범위 피부병변, 심혈관 사건 직후는 연기 또는 의료의뢰.
-
목적 1–2개만 선택
-
예: “경추 회전 통증 30% 감소”, “수면 잠들기 시간 10분 단축”.
-
경로 선택
-
순환·이완 중심 경로, 가동범위 회복 경로, 신경계 안정 경로 중 하나를 주축으로, 나머지는 보조. 스웨디시
2. 세션 ‘안무’(Choreography) 청사진
-
오프닝 3분: 호흡 동기화, 전신 표재 에플러라지로 체성신경계 ‘안전 신호’ 제공. 마타이
-
바디 코어 40–70분: 주축 경로 수행(등–둔부–하지 → 전면–상지–경부 순, 혹은 문제 부위 우선).
-
클로징 5분: 속도 가장 느리게, 스트로크 길게, 말단에서 몸통으로 순환 정리.
-
전환 시그널: 구간 바뀔 때만 리듬 살짝 조정해 신경계에 “페이즈 전환” 알려주기.
3. 미세 스킬 라이브러리(기술의 ‘손맛’)
-
접촉 진입각
-
0–15도 저각도로 피부에 얇게 깔듯이 진입하면 통각수용기 각성 최소화.
-
깊이를 늘릴 땐 압력보다 접촉 면적을 먼저 키워서 조직이 수용하도록 만든다.
-
전단(shear) vs 압축(compression)
-
스웨디시는 압축 7 : 전단 3 비율이 기본. 유착·결절 부위만 전단을 잠깐 끼워 넣되 30–90초 이내.
-
리코일(recoil)
-
한 스트로크 끝에서 힘을 남기지 않고 완전히 회수해 다음 스트로크 품질 유지.
-
크로스핸드 근막 스윕
-
양손을 반대 방향으로 미세하게 벌려 근막 층간 활주 유도. 오일은 소량만.
-
스킨 롤링(얇은 피하지방층 대상)
-
피부-근막의 점착을 ‘들어 올려 굴리기’로 풀되, 멍 소인 있으면 짧게.
4. 신경생리 관점의 설계 포인트
-
Aβ 기계수용기(메르켈·마이스너) 자극은 게이트 조절로 통증 신호를 약화.
-
CT(부드러운 촉각) 섬유는 느리고 따뜻한 스트로크에서 미주신경 반응을 도와 심박·호흡 안정.
-
리듬 변동이 크면 교감신경이 깨어나므로, 분당 손 이동 횟수 일정 유지가 핵심.
-
말단(손·발) 가벼운 펌핑은 체성–자율신경 연결을 진정시켜 세션 초·말에 배치하면 안정감 상승.
5. 오일·마찰·그립의 공학
-
점도: 너무 미끄러우면 그립 상실(깊이 불가), 너무 끈적하면 피부 스트레스 증가.
-
바디파트별 1회 평균 사용량 가이드(참고값): 등 8–12ml, 하체 한쪽 6–8ml, 팔 한쪽 3–5ml, 복부 2–3ml.
-
손 관리: 세션 전후 손가락 폴딩 스트레칭, 엄지는 진입 가이드로만 사용하고 깊이는 전완·팔꿈치가 담당.
6. 부위별 플레이북(현장 큐와 함정)
경부
-
승모 상부는 전완으로 넓게 워밍업 후, 견갑거근 부착부에 20–30초 미세 프릭션, 즉시 긴 에플러라지로 회수.
-
흉쇄유돌근·경동맥 라인은 깊은 압박 금지, 촉진만 가볍게.
견갑대·등
-
흐름은 천골→흉요근막→견갑 내연. 기립근을 전완으로 ‘길게’ 밀어 조직 길이감 회복.
-
견갑하근 접근 시 팔을 외회전·신전 살짝 주고, 견갑 전상방 가장자리에서 스쿠핑. 극돌기 직압 금지.
둔부·골반
-
중둔·소둔은 장골능에서 대전자로 사선 스윕. 이상근은 좌골신경 라인 직압 피하고 셰이킹+짧은 프릭션.
-
전방골반경사 케이스는 장요근 직접 심부보다 TFL·대퇴직근·흉요근막 간접 접근이 안전.
하지 후면
-
슬와부(오금)는 신경혈관 다발. 깊은 압박 금지, 옆으로 우회 스트로크.
-
종아리는 페트리사지 후 발목 펌핑으로 정맥 귀환 촉진.
하지 전면
-
대퇴사두는 근복→근건 순으로 흐름. 장경인대 자체에 강한 마찰을 주지 말고 주변 근막 활주 회복 위주.
복부·흉곽·호흡
-
복부는 시계방향 원형, 압력은 얕게. 늑골 하연 림프 스윕과 횡격막 셰이킹으로 호흡 심도 늘리기.
-
위장관 자극 민감자는 복부 생략 후 늑골 하연–흉곽 중심으로 대체.
상지·전완
-
마우스·타자 과사용자는 전완 굴·신근을 교대 니딩, 수근굴근 기시부에 짧은 프릭션, 손바닥 펌핑으로 마무리.
발
-
종·횡궁을 가볍게 가로지르는 마찰과 지간 신전 스트레칭 15–20초. 티눈·감염 의심 부위는 회피.
얼굴·두개저
-
후두하군은 지속 지압보다 바이브레이션이 안전. 측두근은 이갈이 이력 확인 후 짧게.
7. 목적별 세션 빌더(겹치지 않는 새로운 설계)
거북목·라운드숄더 70분
-
흉곽 열기 8분, 견갑 내연–광배–능형 20분, 승모 상부·견갑거근 15분, 대흉·소흉 10분, 전완 10분, 말단 안정 7분.
-
체크: 경추 좌우 회전각, 어깨 외회전, 흉추 신전 자가감.
긴장성 두통 보조 50분
-
두개저·후두하 바이브레이션 10분, 목 전벽 라이트 트레이싱 5분, 승모·견갑거근 15분, 흉곽·호흡 10분, 손·발 안정 10분.
-
체크: 통증 NRS, 빛·소음 민감도 변화.
허리·둔부 피로 90분
-
천골–흉요근막 전완 글라이딩 30분, 둔부 사선 스윕 20분, 햄스트링 15분, TFL 주변 근막 10분, 말단–전신 회수 15분.
-
체크: 전굴/후굴 시 당김 위치, 서있기 편안 시간.
수면의 질 향상 60분
-
말단 안정 10분, 흉곽·횡격막 10분, 등·견갑 20분(속도↓), 경부 바이브레이션 10분, 전신 초슬로우 에플러라지 10분.
-
체크: 세션 직후 졸림, 밤 수면잠복기.
8. 특수 인구집단 조정
임신
-
측와위·반좌위 우선, 복부 깊은 압박 금지, 발목 내과 뒤쪽 특정 포인트 강자극 회피.
항응고제·멍 잘 드는 체질 -
타포트망과 강한 프릭션 축소, 접촉 면적을 넓혀 압력 분산.
당뇨성 말초신경병증 -
발·말단 감각저하 주의, 자극 후 시진 필수.
암 치료력·림프절 절제 -
해당 부위·측에 강압 금지, 필요 시 온콜로지 마사지 전문 프로토콜 준수.
9. 용량·강도·빈도(‘운동처방’식 도징)
-
강도: 주된 구간 압력 체감 2–3/5. 결절만 3.5까지 30–90초.
-
속도: 3–8cm/초 범위에서 일정 유지.
-
빈도: 회복 목적 1주 1회×4–6주, 유지 목적 격주 1회. 수면·스트레스 관리 목적은 저강도 60분을 더 자주.
10. 모니터링과 객관화
-
주관지표: 통증 NRS(0–10), ‘목·어깨 긴장감’ 주관척도(0–5), 피로감, 수면잠복기.
-
관찰지표: 경추 회전각, 어깨 외회전, 전굴 손끝–바닥 거리, 호흡 횟수/분.
-
세션 중 3회 압력 체크: 도입–중반–마무리 직전.
11. 사후 루틴·습관 교정
-
24–48시간 과격한 근력운동·극열/극냉요법 회피.
-
물 평소보다 한두 잔 더.
-
5분 셀프 루틴: 벽 가슴열기 60초×2, 승모·견갑거근 스트레치 30초×2, 햄스트링 45초×2, 30–30 규칙(업무 30분마다 30초 목·어깨 리셋).
12. 품질관리와 윤리
-
드레이핑은 필요한 부위만 노출, 전환 전 구두 안내.
-
민감 부위·불편 신호 즉시 중단.
-
“독소 배출” 같은 과장 표현 지양, 순환·이완·자율신경 안정이라는 검증 가능한 결과로 설명.
13. 문제해결(트러블슈팅)
-
오일 과다로 그립 상실 → 드라이 와이프 후 소량 재도포, 속도 살짝 감소.
-
결절 집착으로 흐름 끊김 → 60–90초 규칙, 바로 큰 스트로크로 회수.
-
클라이언트가 더 강도를 요구 → 압력은 넓게, 속도는 오히려 느리게. ‘아픔=효과’ 인식은 교정.
14. 4주 프로그램 예시(축약)
1–2주차: 저강도 전신 회복, 호흡·말단 안정 루틴 고정.
3주차: 문제 부위 집중 세션 1회 + 유지 세션 1회.
4주차: 기능 재평가 후 빈도 조정, 자가 스트레칭·업무 습관 교정 포함.
15. 미니 용어 사전(현장식)
-
에플러라지: 넓게 길게 쓸어 순환·안정 여는 동작.
-
페트리사지: 집어 주무르는 근섬유 활주 회복.
-
프릭션: 짧고 깊게 유착 포인트 조정.
-
타포트망: 짧은 두드림, 각성–회복 전환용.
-
바이브레이션/셰이킹: 미세 진동·흔들기, 부교감 유도.
댓글목록
no comments.